반응형
○ 범위관리
기획 |
범위 기획 | ° 범위관리계획서
- Scope statement, WBS 작성절차 및 방법 - 프로젝트 범위변경 절차 |
범위 정의 | ° 제품범위(Product scope)와 프로젝트범위(Prj scope)를 정의하는 단계
- Product scope : 제품의 기능, 서비스 - Project scope : Activity, 산출물, 일정, 가정, 제약조건 등을 포함 <Tool> ° 제품분석, 대안모색(구매-획득결정), 이해관계자분석 <Output> ° 범위기술서 : 변경요청 사항이 범위 안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게 하는 기준을 제공하며 이를 상세화하면 프로젝트 관리 계획서가 된다. - Prj목표, 요구사항 - 제품 범위기술서 - Prj경계, 가정, 제약 - 형상관리 요구사항 - 일정 마일스톤 - 초기에 정의한 리스크 - 인수(검수)기준 및 인도물 |
|
WBS작성 | <Tool>
° 분할 - 연동기획(Rolling Wave Planning) <Output> ° WBS - Project팀이 작성하여 공감대 형성(Team Building의 기능)하며 - 인도물 중심의 계층구조(What to do) - 각 계층마다 분할의 관점이 다를 수 있으며 - 일정, 원가를 추정할 수 있는 수준까지 분할 - 각 단위업무(산출물)에 대한 역할, 책임을 정의 - 작업패키지 : 평가, 통제 가능한 최하위 단계 - 고객과의 의사소통 도구이며 - 위험식별을 위한 체크리스트로 활용 가능 - 모니터링 및 통제를 위한 주요 문서 - 관리업무(진척보고 등)도 포함되어야 함 - Project 수행을 일관성있게 추진토록 함(일정관리 툴은 아님) ° WBS Dictionary - WBS에 포함된 구성요소의 세부적인 내용 - 관리단위 코드 - 담당조직, 작업기술서, 일정 마일스톤 목록 - 계약정보, 품질요구사항, 기술 참조서 - 일정활동, 필요자원, 원가 산정액 목록 ° 범위기준선 ※ Control account - 작업항목들이 어느 조직단위에 할당되었는지를 보여주며 공급자가 구매자에게 제공하게 될 보고수준을 정의 - WBS와 OBS의 교차점 |
|
감시/ 통제 |
범위 검증 | ° 완료된 산출물에 대해 고객의 공식적인 승인을 획득하는 단계(Accept 또는 Reject)
※ 품질통제(Quality Control) - 고객의 요구사항을 충족하였는지를 평가(Correct 또는 Incorrect) <Tool> ° Inspection <Output> ° 인수된 인도물 |
범위 통제 | ° 범위 변경시 이해당사자들의 합의하에 일정, 원가 등 다른 영역의 변경을 같이 하며 일차적으로 계약변경을 시도
<Tool> ° 변경통제시스템 ° 형상관리시스템 ° 차이분석 ° 재계획 <Output> ° 범위기준선 변경 ※ Prj Scope creep(프로젝트 범위 추가) - 통제되지 않은 변경 ※ 범위변경의 주된 요인들 - 정부의 정책변화 - 고객의 프로세스 변경 - 요구사항(범위)의 누락 및 잘못된 정의 - 기술의 발전으로 계획된 내용이 의미를 상실 |
반응형
'IT 이야기 > 프로젝트관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원가관리(Cost Management) (0) | 2008.12.02 |
---|---|
일정관리 주요 도구(주공정법, 주공정연쇄법, Crashing, Fast Tracking, 자원평준화) (0) | 2008.11.04 |
프로젝트 일정관리 (0) | 2008.09.12 |
프로젝트관리 기본 개념들 (0) | 2007.09.05 |
[감리 및 사업관리] 2007 정보시스템감리사 기출문제 복원 (0) | 2007.09.0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