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○ 일정관리 주요 도구(Tool)
주공정법 (자원가용성과 역량을 고려하지는 않고 연관관계와 수행기간만으로 결정) |
° Forward passing 위주관리 ① forward passing : ES, EF 결정 ② backward passing : LS, LF 결정 ③ total float 산출 : LF - EF = LS - ES - 특정 활동이 전체 일정을 지연시키지 않고 가질 수 있는 여유시간으로 사용시 후행 활동에 사용 사실을 통보해야 함 ④ total float이 ‘0’인 활동들을 연결 ° 이전 Prj의 경험을 통해 불확실성이 적을 때 ° total float < 0 이면 일정단축 기법(Crashing 또는 Fast Tracking)을 사용해야 함 ※ free float - 후행작업의 빠른 시작일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작업을 지연시킬 수 있는 시간, 즉 해당 작업의 여유시간으로 후행 활동에 사용 사실을 통보안해도 됨 - non-critical-path상의 활동 중에서 Critical path와 합쳐지기 직전 활동에서 발생함 |
주공정연쇄법 |
° CPM에 자원가용성, 일정제약을 고려하고 buffer관리를 통해 일정을 관리하는 기법 ° CP에 자원평준화(Resource Leveling)를 수행 후 새로 계산한 CP와 동일하다 ° Backwoard passing 위주 관리 ° Buffer(안전, 모니터, 행동영역으로 구성) - Project Buffer : CC의 끝에서 관리 - Feeding Buffer : CC에 연결되는 non-CP의 끝에서 관리 - Resource Buffer : non-Critical 활동이 희소자원을 필요로 할 때 설정 |
공정압축법 (Crashing) |
° 최소한의 원가상승으로 최대한의 기간 단축 ° 유의사항 - Critical path상에 추가자원 투입 - 비용대비 효과가 높은 활동에 우선 투입 - 자원을 한 단위씩 투입 - 초급을 고급인력으로 대체하는 것도 포함 |
공정중첩단축(Fast Tracking |
° 병행처리로 기간을 단축할 수 있지만, 재작업으로 인해 위험이 증가할 가능성 |
자원평준화 (휴리스틱방법) |
° total float > 0 인 활동(non-critical 활동)들을 조정 ° 때로는 프로젝트 기간의 연장을 초래함 |
반응형
'IT 이야기 > 프로젝트관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조직구조 및 팀구성 방법 (12) | 2009.03.09 |
---|---|
원가관리(Cost Management) (0) | 2008.12.02 |
프로젝트 범위관리(Scope Management) (0) | 2008.10.21 |
프로젝트 일정관리 (0) | 2008.09.12 |
프로젝트관리 기본 개념들 (0) | 2007.09.05 |